응급실 대란 끝? 설 연휴 환자 29% 확 줄어
올해 설 연휴(1월 25~29일) 동안 응급실을 찾은 환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증 환자의 감소 폭이 두드러져 응급실의 혼잡이 다소 완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연휴 기간 전국 413개 응급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는 하루 평균 2만6240명으로 집계됐다. 설 당일인 29일에는 3만2682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지난해 설 연휴(2월 9~12일) 일평균 3만6996명보다 1만756명(29.1%) 감소한 수치다.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는 한국형 중증도 분류체계(KTAS)에 따르면, 경증·비응급 환자(4~5등급)는 하루 평균 1만4039명으로 지난해(2만3647명)보다 41%(9608명) 감소했다. 전체 응급실 방문 환자 중 경증·비응급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도 작년 설 연휴 63.9%에서 올해 53.5%로 10%포인트 낮아졌다.
반면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한 중증·응급환자(1~2등급)는 하루 평균 1435명으로 지난해 1414명보다 소폭 증가했다. 이는 여전히 응급실이 중증 환자 중심으로 운영될 필요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응급실 혼잡이 완화된 배경에는 설 연휴 기간 문을 연 병·의원과 약국 수의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에 따르면, 연휴 기간 동안 운영된 병·의원은 하루 평균 1만4619곳으로, 지난해 설 연휴(3643곳)보다 4배 가까이 늘었다. 약국도 9280곳이 문을 열어 지난해(4473곳)의 2배 이상 증가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9월부터 시행된 응급실 비응급 환자의 진료비 부담 증가 정책도 영향을 미쳤다. 해당 정책에 따라 경증 환자가 응급실을 방문하면 의료비의 90%를 본인이 부담해야 하면서, 응급실 방문을 자제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한편,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설 연휴 직전 성명을 통해 응급의료 현장의 피로도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정부가 응급의료 위기 상황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을 의료계와 논의한 적이 없다"며 "명절뿐만 아니라 향후 지속적인 의료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이번 설 연휴 기간 응급실의 진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중증·응급 수술 및 야간·휴일 수가를 기존 200%에서 300%로 확대했다. 또한 1월 22일부터 2월 5일까지를 '설 명절 비상응급 대응 기간'으로 지정해 응급의료 체계 유지 특별대책을 시행 중이다.
응급실 혼잡 완화를 위한 정책이 일정 부분 효과를 거둔 것으로 보이지만, 의료진의 피로 누적과 중환자실 부족 등의 문제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의료계 간의 협의를 통한 장기적인 응급의료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 37억 자산가, 여름휴가 전 "이종목" 매수해라!! 한달
- 50대 부부 한알 먹고 침대에서 평균횟수 하루5번?
- 男性 발보다 더러운 '거기', 세균지수 확인해보니..충격!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로또용지 뒷면 확인하니 1등당첨 비밀열쇠 발견돼
- 먹자마자 묵은변 콸콸! -7kg 똥뱃살 쫙빠져!
- 서울 천호역 “국내 1위 아파트” 들어선다..충격!
- 주식, 비트코인 다 팔아라 "이것" 하면 큰돈 번다!
- 한달만에 "37억" 터졌다?! 매수율 1위..."이종목" 당장사라!
- "관절, 연골" 통증 연골 99%재생, 병원 안가도돼... "충격"
- "한국로또 뚫렸다" 이번주 1등번호.."7,15…"
- 비트코인으로 4억잃은 BJ 극단적 선택…충격!
-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10만원 있다면 오전 9시 주식장 열리면 "이종목" 바